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이야기/하지

심부 고관절 외회전근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엉덩이]

by 우리동네트레이너 2025. 7. 2.
728x90
반응형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인체해부학,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

안녕하세요 회원님들! 오랜만에 포스팅하는데 이사준비다 뭐다 하면서 거의 한 달 넘게 만에 해보는 포스팅입니다! 그래서 다시 천천히 시작한다는 마인드로 하려는데 이사가 끝난 뒤에도 손이 잘 가지 않아 오랜만에 와보는 블로그는 참 어색하기만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고관절 심부외회전근입니다.




고관절 심부 외회전근 목차



    고관절 심부외회전근은 어떻게 생겼어요?


     

    심부외회전근의 형태

    심부외회전근은 고관절 깊숙한 곳에 위치해있습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대둔근이 가장 강한 힘을 보여주고 가장 큰 용적을 차지한다고 했는데 가장 바깥에서 보이는 대둔근 안에 있는 근육으로 엉덩이 근육에서도 가장 바깥에 있는 대둔근을 벗겨내면 바로 보이는 근육입니다. 심부외회전근은 총 여섯 가지로 이상근, 상쌍자근, 하쌍자근, 내폐쇄근, 외폐쇄근, 대퇴방형근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심부외회전근을 뒤에서 본 모습(후) / 대퇴근막장근을 아래에서 본 모습(우) - 출처 : Human Anatomy Atlas

    사진을 보시면 심부외회전근은 고관절에서 기시해서 대퇴골로 정지합니다. 이 근육은 대퇴골의 뒤쪽에 붙어 있는데 그래서 대퇴골의 둣 부분을 천골쪽으로 수축을 합니다. 그리고 심부외회전근은 이름 그대로 대퇴골을 외회전을 시켜주는 근육입니다. 하지만 근육의 사이즈 자체의 크기는 크지 않기 때문에 안정화에 조금 더 치중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고관절 심부외회전근 간단 설명

    고관절 심부외회전근은 아래 설명해 드린 곳에서 기시해서 그 밑에 설명해 드리려고 하는 정지점에 붙어있고 아래와 같은 기능을 합니다.

     
     

    • 기시점 (이는 곳, Origin) :

    이상근 - 천골전면(Front of the sacrum)

    상쌍자근 - 좌골극의 외측면(ischial spine)

    내폐쇄근 - 폐쇄공 안쪽(Inner surface of the obturator foramen)

    하쌍자근 - 좌골조면(ischial tuberosity)

    외폐쇄근 - 폐쇄공 외면(the medial side of obturator foramen)

    대퇴방형근 - 좌골결절 외측(External border of the ischial tuberosity)

    • 정지점 (닿는 곳, Insertion) :

    이상근 - 대퇴골 대전자(greater trochanter of femur)

    상쌍자근 - 내폐쇄근의 건(tendon of obturator internus)

    내폐쇄근 - 대퇴골 대전자 내측면(Medial surface of the greater trochanter)

    하쌍자근 - 내폐쇄근의 건(tendon of obturator internus)

    외폐쇄근 - 대퇴골의 전자와(trochanteric of the femur)

    대퇴방형근 - 대퇴골 전자간능선(intertrochanter crest of the femur)

    • 작용(기능, Action) : 

    대퇴골의 외회전


    고관절 심부외회전근은 위와 같이 붙어있고 그 모양에 의해 이러한 기능을 합니다. 그래서 고관절 심부외회전근의 근육 형태에 따라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고관절 심부외회전근의 특징


    • 고관절 심부외회전근은 단순외회전과 관절안정화를 담당한다.

    고관절심부외회전근은 단순하게 고관절을 외회전을 시키는 작용을 넘어서 고관절 관절면의 위치정렬, 관절낭 내압유지, 대퇴골두 중심화에 기여합니다. 고관절 심부외회전근은 상체의 회전근개와 마찬가지로 골두의 중심화에 기여합니다. 그래서 안정화를 일으켜주는데 이러한 안정화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움직임이 지속될 경우 통증이 발현될 수 있습니다.

     

    • 고관절 심부외회전근은 자세, 각도, 협응에 따라 기능이 변한다.

    이 특징에는 이상근이 가장 큰 역할을 하는데 각도에 따라 이상근은 중립에서 신전구간에 외회전을 주된 작용으로 하고 고관절의 굴곡 각도가 60도에서 90도가 넘어가면 외전작용이 강화되고 외회전은 감소하게 됩니다. 그래서 외회전을 하는 근육임에도 이상근 스트레칭을 할 때에는 고관절을 굴곡 상태에서 외회전을 한 상태로 스트레칭을 하는 이유입니다.

     

    • 고관절 심부외회전근은 다른 근육들과 협응을 일으켜 작용해야 합니다.

    고관절 심부외회전근은 중둔근, 대둔근, 요방형근과 같은 근육과 협응 및 기능분담을 하는데 각각의 근육의 과활성화 및 약화가 일어날 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중둔근의 약화 시 외전 동작에서 대퇴근막장근이 보상하게 되고 이를 막기 위해서는 심부외회전근이 안정화를 잘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대둔근은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근육이라면 심부외회전근은 조정자의 역할로 관절 축이 벗어나지 않도록 미세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마치며


    고관절 심부외회전근은 고관절 깊숙하게 있는 근육인 만큼 조정자 및 센서 역할을 해주는 첫 번째 근육이라고 생각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심부의 근육이 먼저 반응하여 위치를 잡아주고 안정화를 시켜주어야 나머지 큰 근육들이 제대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간과해서는 안되는 근육입니다. 그리고 큰 근육을 사용해주지 않고 기능이 상실되면 마찬가지로 조정자로서 일을 해야 하는 심부외회전근이 과도하게 작용을 하면서 과활성화가 오면서 이상근 증후군과 같은 일들이 일어날 수 있으니 이러한 점도 항상 경계해야 하는 부분이므로 이 점 유념해 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오랜만에 뵙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똑똑한 운동하세요 회원님!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5.05.08 - [해부학 이야기/하지] - 대둔근 (Gluteus Maxim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하체 운동]

     

    대둔근 (Gluteus Maxim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하체 운동]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안녕하세요 회원님들! 4월은 뭔가 더운 날이 지속돼서 이번에는 여름이 굉장히

    body-making.tistory.com

    2025.05.16 - [해부학 이야기/하지] - 중둔근 (Gluteus Medi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하체 운동]

     

    중둔근 (Gluteus Medi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하체 운동]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안녕하세요 회원님들! 벌써 5월의 중간이 지나가는 시점인데 요즘은 날씨가 오

    body-making.tistory.com

    2025.05.27 - [해부학 이야기/하지] - 대퇴근막장근 (Tensor Fasciae Latae)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하체 운동]

     

    대퇴근막장근 (Tensor Fasciae Latae)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하체 운동]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안녕하세요 회원님들! 날씨가 이상하다고 하면서 갑자기 추워졌던 날을 뒤로하

    body-making.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