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회원님들!
벌써 5월의 중간이 지나가는 시점인데 요즘은 날씨가 오히려 쌀쌀해서 신기한 계절 같습니다. 대신 날씨가 습하니 더운 느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나 봅니다. 그래서 길을 걷다 보니 걸을 때에는 중둔근이 굉장히 중요한데 오늘은 중둔근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중둔근 해부학 목차
중둔근은 어떻게 생겼어요?
중둔근은 골반에서 시작해서 다리뼈에 붙는, 즉 장골에서 붙어 대퇴골로 붙는 근육입니다. 그리고 고관절을 경유하는 단일관절근육으로 우리의 몸에서 안정성을 기여하는데 중요한 근육입니다. 그리고 중둔근은 대둔근에 비해 작고 눈에 잘 띄지는 않지만 그래서 걷기, 서기, 밸런스 유지, 골반 안정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핵심근육입니다. 그래서 중둔근은 한쪽 발로 체중을 지지할 때 반대 측으로 골반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근수축을 합니다. 그래서 중둔근은 보행을 할 때, 양 옆 교대로 수축을 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한쪽의 중둔근이 마비되면 중둔근 파행(중간볼기근절름)을 초래한다고 합니다. 그럼 중둔근이 어떻게 생겼는지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중둔근의 형태
중둔근은 장골능, 장골의 상둔선, 중둔선이라고 하는 곳에서 시작해서 대퇴골의 대전자로 붙는데 단일관절로써 고관절의 안정성을 담당합니다. 부채꼴의 모양처럼 근섬유가 형성되어 있고 그래서 자세히 들여다보면 상지에서 삼각근과 비슷한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그럼 중둔근의 생김새에 대해서 알아봤으니 이에 대해서 간단하게 요약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중둔근 간단 설명
중둔근은 아래 설명드린 곳에서 기시해서 그 밑에 설명드리려고 하는 정지점에 붙어있고 아래와 같은 기능을 합니다.
- 기시점 (이는 곳, Origin) :
장골능(엉덩뼈능선), 장골의 상둔선(위볼기근선, 중둔선(중간볼기근선)사이
- 정지점 (닿는 곳, Insertion) :
대퇴골의 대전
- 작용(기능, Action) :
고관절외전(엉덩관절 벌림), 내회전(안쪽돌림)[전방섬유]
중둔근은 위와 같이 붙어있고 그 모양에 의해 이러한 기능을 합니다. 그래서 중둔근의 근육 형태에 따라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중둔근의 특징
- 중둔근은 고관절 외전의 주동근이다.
중둔근의 가장 대표적인 기능은 고관절 외전입니다. 물론 대퇴근막장근이나 소둔근, 대둔근과 같은 근육도 외전에 도움을 주지만 중둔근이 활성화가 잘 되지 않는다면 고관절 외전의 품질은 굉장히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중둔근은 서있을 때 한쪽 다리를 들어 올려도 반대쪽 골반이 주저앉지 않도록 지지해 주고 걸을 때 골반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골반의 수평을 유지해 주는 근육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중둔근은 골반 안정성의 핵심이다.
중둔근은 두 다리로 서있을 때보다 한 다리로 지탱할 때 훨씬 더 강하게 작용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한 발로 균형을 잡거나 걷는 중에 들어 올릴 때 반대쪽 골반이 무너지지 않도록 중둔근이 버텨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위에서 말씀드렸듯 골반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하지 정렬의 기준점을 제공해 주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허리통증, 고관절통증, 무릎정렬의 불안정이 일어나면서 통증이 심해져 몸의 기능이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 중둔근은 현대인에게 가장 빨리 약화되는 근육 중에 하나이다.
현대인들에게 특히 잘 약화되는 근육 중에 하나인데 그 이유는 보행의 감소를 이유로 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걷지 않고 뛰지 않는 생활을 반복하게 되면서 우리는 자연스레 중둔근을 비활성화시키는데 이렇게 된다면 다른 근육들이 보상작용을 하면서 엉덩이는 크지만 기능은 약한 구조가 생겨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허리나 무릎과 같은 곳들이 통증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해서 운동을 해주셔야 합니다.
마치며
중둔근은 대둔근처럼 눈에 띄는 근육은 아닙니다. 하지만 골반 안정성에 엄청나게 큰 역할을 기여하는 만큼 항상 잘 움직여야 하는 근육입니다. 그래서 중둔근이 약해진다면 단순히 엉덩이가 퍼지거나 보기 싫어진다는 문제가 아니라 전신 정렬과 보행 안정성 자체가 무너져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기능을 하는 만큼 중둔근의 운동은 필수적으로 해주셔야 합니다.
그럼 오늘도 똑똑한 운동 하세요 회원님!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5.05.08 - [해부학 이야기/하지] - 대둔근 (Gluteus Maxim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하체 운동]
대둔근 (Gluteus Maxim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하체 운동]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안녕하세요 회원님들! 4월은 뭔가 더운 날이 지속돼서 이번에는 여름이 굉장히
body-making.tistory.com
'해부학 이야기 > 하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둔근 (Gluteus Maxim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하체 운동] (1) | 2025.05.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