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해부학10

중부승모근 (Middle Trapezi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등 운동]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안녕하세요 회원님들! 요즘은 날씨가 참 제멋대로인가 싶은 느낌이 듭니다. 분명 그전까지는 추운 기운이 돌더니 비가 한번 내리고 나니 해가 뜨지 않아서 그런지 날씨가 추운 것 같기도 하고 오전에 출근을 하려고 나오니 또 날씨가 덥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날씨가 이랬다가 저랬다가 하는 기분이라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승모근에 대해서 알려드릴텐데 오늘은 중부승모근에 대한 내용을 풀어보려고 합니다. 그럼 글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중부승모근 해부학 목차중부승모근 (Middle Trapezius)은 어떻게 생겼어요?승모근은 상부승모근, 중부승모근, 하부승모.. 2025. 4. 10.
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등 운동]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안녕하세요 회원님들! 4월도 1/3 정도가 흘러가는 시점입니다. 벚꽃이 슬슬 만개가 되는 시점인데 항상 벚꽃이 만개하는 날이면 이렇게 꽃이 이쁘게 피다가도 비가 몇 번만 내려도 떨어지는 꽃에 실망하면서도 다시 푸른 잎을 기다리면서 또 앞날을 기대하게 된답니다. 여러분은 어떠실까 궁금합니다. 오늘은 승모근 중에서도 상부승모근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상부승모근 해부학 목차  상부승모근은 어떻게 생겼어요?승모근의 기원은 스님의 모자에서 기원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상부승모근은 목과 어깨를 이어주는 표층 근육입니다. 그래서 목과 어깨의 안정성과 가동성을 담당하는데, 상체에서 굉장히 큰 근육 중 하나.. 2025. 4. 9.
광배근 (Latissimus dorsi)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등 운동]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안녕하세요 회원님들!벌써 1분기가 지나고 4월이 되었습니다. 항상 느끼는 거지만 시간은 왜 이리 빨리 지나가는 건지 지나고 나면 너무나 빨리 간다는 걸 새삼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하루를 보낼 때도 항상 제대로 보내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하루입니다. 오늘은 당기는 운동을 하는 대표적인 근육이고 많은 분들이 운동하기 어려워하는 광배근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광배근 해부학 목차광배근(Latissimus dorsi)은 어떻게 생겼어요?광배근은 먼저 넓을 광에 등 배 자를 써서 한글로 풀이하자면 넓은 등근이라고 표기합니다. 그래서 표면적으로 굉장히 넓게 보이며 그 부피 또한 상.. 2025. 4. 4.
소흉근 (Pectoralis minor) 해부학 :: [초보트레이너 & 어깨통증 해부학 이해하기]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안녕하세요 회원님들! 이제 벌써 3월의 마지막을 향해가고 있는 시점입니다. 이제 1분기가 지나가고 날씨가 풀리면서 진짜 봄을 알리고 있습니다. 한강공원을 나가보니 생각보다 날씨가 덥다고 생각했는데 또 그다음 날은 비가 오니 날씨가 참 뒤숭숭하니 감기를 걸리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항상 몸건강 챙기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으로 대흉근에 대해서 해부학과 운동에 대해서 알려드렸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와 비슷한 이름을 가지고 비슷하게 붙어있는 소흉근이라는 근육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소흉근 해부학 목차 소흉근은 어떻게 생겼어요?소흉근은 현대인들이 많이 가지고 있는 변형 형태인.. 2025. 3. 31.
대흉근 (Pectoralis major) 운동 _ 대흉근 상부운동 :: [헬린이를 위한 가슴 운동 _ 1]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근육운동가이드]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회원님들!서울은 날씨가 굉장히 따뜻해졌고 하지만 미세먼지는 굉장히 심한 날이 계속되고 있어요 ㅠ 다른 분들이 계신 곳들의 날씨는 어떠실까요? 미세먼지가 너무 많다 보니 저는 보통 실내에서 운동하는 걸 주로 즐겨하는데 미세먼지가 조금 줄어든다면 밖에 나가서 러닝도 하고 산책도 나가고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답니다!오늘은 지난번 대흉근 해부학을 알아봤으니 대흉근 운동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혹시 지난 포스팅을 읽지 못하신 분들은 제가 아래에 링크를 남겨드릴 테니 참고하고 오늘의 글을 읽으시면 더욱 알찬 글이 될 것이니 지난 글을 꼭 읽고 오시는 걸 추천드립니다.2025.03.11 - [해부학 이야기/.. 2025. 3. 14.
대흉근 (Pectoralis major)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가슴 운동]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안녕하세요 회원님들! 3월이 되면서 이제는 진짜 봄인가 싶은지 날씨가 확 따뜻해지면서도 아직은 그래도 추운가? 싶을 정도로 날씨가 왔다 갔다 하는 걸 보니 봄이긴 봄인가 봅니다! 그럼 날씨가 풀리는 만큼 미세먼지만 조심하면 겨울과는 다르게 밖을 나갈 수 있으니 어느 정도 더 활발하게 움직일 수 있으니 다시 한번 더 힘차게 나가보도록 하시죠! 오늘의 근육은 가슴근육에 대한 해부학을 알려드리도록 할텐데 오늘의 근육은 대흉근(Pectoralis major)입니다. 대흉근은 우리가 현실에서 '갑빠'라는 이명으로 많이 불리고 있습니다. 가슴근육은 실제로 헬스장을 가면 월요일에 진행할 정도로 주의 시작을 가슴.. 2025. 3.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