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이야기/하지

대둔근 (Gluteus Maxim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하체 운동]

by 우리동네트레이너 2025. 5. 8.
728x90
반응형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인체해부학,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

안녕하세요 회원님들!
 

4월은 뭔가 더운 날이 지속돼서 이번에는 여름이 굉장히 빨리 올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날씨가 좋은 5월입니다. 그럼 우리는 바깥으로 걷고 싶어지는 계절인데 오늘은 걸을 때도 굉장히 중요한 근육인 대둔근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대둔근 해부학 목차

     



    대둔근은 어떻게 생겼어요?


    대둔근은 우리의 몸에서 가장 큰 용적을 가진 근육입니다. 그리고 중둔근, 소둔근과 함께 [둔근]으로 분류됩니다. 그래서 엉치와 골반에 붙어서 허벅지로 경유하는 근육인데 굉장히 큰 용적을 가진 만큼 그 역할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대둔근은 실제로 상지에서 삼각근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우리의 다리를 어떤 동작을 하던 대둔근 및 다른 둔근들은 항상 사용한다고 기억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엉덩이에 위치한 대둔근은 한글용어로는 큰볼기근으로 표현합니다. 

    대둔근의 형태 

    대둔근을 뒤에서 본 모습(좌) / 대둔근을 옆에서 본 모습(우) - 출처 : Human Anatomy Atlas


    대둔근의 해부학적인 형태는 위와 같은 형태로 생겼습니다. 그렇다면 대둔근은 어디에서 어디로 붙는지 그리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간단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대둔근 간단 설명

    대둔근은 아래 설명드린 곳에서 기시해서 그 밑에 설명드리려고 하는 정지점에 붙어있고 아래와 같은 기능을 합니다.

     
     

    • 기시점 (이는 곳, Origin) :

    천골 후면(엉치뼈 뒷면), 장골(엉덩뼈), 장골 상둔선(엉덩뼈 위볼기근선)

    • 정지점 (닿는 곳, Insertion) :

    둔근조면(볼기근거친면), 장경인대(엉덩정강근막띠)

    • 작용(기능, Action) : 

    고관절 신전(엉덩관절 폄), 고관절 외회전(엉덩관절 가쪽돌림)


    대둔근은 위와 같이 붙어있고 그 모양에 의해 이러한 기능을 합니다. 그래서 대둔근의 근육 형태에 따라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대둔근의 특징


    • 대둔근은 인체 최대의 근육이다.

    대둔근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용적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상체에서 가장 큰 삼각근에 비해서도 거의 두 배 가까이 큰 근육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둔근은 우리 몸에서 그 정도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대둔근은 우리 몸에서 폭발적인 힘을 생성이 가능합니다. 달리기나 점프와 같은 운동 퍼포먼스에서 필요한 동작들에 대해서 가장 큰 힘을 발휘합니다.

    • 대둔근은 다관절 조절자다.

    대둔근은 엉덩이에 있는 뼈와 허벅다리 뼈에 붙어 한 관절만 붙어있지만 사실상 대둔근은 고관절, 천장관절, 무릎관절까지 영향을 미치는데 대둔근이 일을 하지 않는다면 각 관절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지면서 통증이 발현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허리가 아프신 분들이나 무릎이 아프신 분들을 평가해 보면 둔근의 기능이 굉장히 떨어져 있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 대둔근은 섬유 방향의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앞서 설명드렸듯, 대둔근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근육입니다. 그래서 대둔근은 단일한 덩어리의 근육처럼 보이지만 그 근육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실제로는 섬유 방향이 다양하고 기능적으로 나뉘는 기능을 가진 근육입니다. 위의 간단 설명에서 드린 것을 포함해서 실제로 대둔근의 상부섬유는 고관절의 외전과 골반 안정화, 중부섬유는 고관절 신전과 외회전, 하부섬유는 골반의 후방경사 및 대퇴의 내전 조절도 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둔근의 기능이 상실된다면 이러한 움직임의 품질이 굉장히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치며


    대둔근은 실제로 수업을 하다보면 굉장히 많이 다룰 수밖에 없는 근육입니다. 스쿼트를 하든, 데드리프트를 하든 밀리터리 프레스를 하든 발바닥이 바닥에 닿아있는 모든 운동에서 주동근육으로 쓰이든, 협력근육으로 쓰이든, 안정근으로 쓰이든 대둔근은 이러한 움직임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만큼 잊지 않고 운동을 잘해주어야 하는 근육입니다. 하체 운동의 품질을 높이고 싶다면 대둔근을 항상 생각해 주시면 더욱 질 높은 운동이 될 수 있으니 항상 염두에 두시길 바랍니다.
     
    그럼 오늘도 똑똑한 운동하세요 회원님!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5.04.04 - [해부학 이야기/상지] - 광배근 (Latissimus dorsi)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등 운동]

     

    광배근 (Latissimus dorsi)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등 운동]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안녕하세요 회원님들!벌써 1분기가 지나고 4월이 되었습니다. 항상 느끼는 거지

    body-making.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