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이야기/체간

중부승모근 (Middle Trapezi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등 운동]

by 우리동네트레이너 2025. 4. 10.
728x90
반응형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인체해부학,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

안녕하세요 회원님들!

 

요즘은 날씨가 참 제멋대로인가 싶은 느낌이 듭니다. 분명 그전까지는 추운 기운이 돌더니 비가 한번 내리고 나니 해가 뜨지 않아서 그런지 날씨가 추운 것 같기도 하고 오전에 출근을 하려고 나오니 또 날씨가 덥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날씨가 이랬다가 저랬다가 하는 기분이라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승모근에 대해서 알려드릴텐데 오늘은 중부승모근에 대한 내용을 풀어보려고 합니다. 그럼 글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중부승모근 해부학

중부승모근 해부학 목차



중부승모근 (Middle Trapezius)은 어떻게 생겼어요?


승모근은 상부승모근, 중부승모근, 하부승모근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승모근은 옛날 스님들의 모자와 비슷하다고 하여 그 이름의 기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부 승모근은 등판에 붙어있는 근육으로 상부승모근의 아래, 하부승모근의 위로 붙어있는 근육입니다. 그래서 아래의 그림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근육의 결이 견갑골(어깨뼈)을 척추 쪽으로 향해가는데 이러한 형태로 인해서 중부 승모근은 견갑골을 척추에 붙여주는 동작을 합니다. 이 행위에 대해서는 간단 설명을 드릴 때 다시 한번 서술하도록 하겠습니다.

중부승모근의 형태

승모근(Trapezius) 좌(후면부, posterior view), 우(측면부, side view) - 출처 : Human Anatomy Atlas

어플의 특성상 중부승모근만 따로 빼는 것이 되지 않아 승모근 전체의 사진을 보여드리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그래서 승모근은 한쪽씩 보게 된다면 세모 모양을 띄고 있으며 그래서 한글로 표현하게 된다면 등세모근이며 양쪽의 근육을 같이 보여준다면 사각형의 모양을 띄고 있습니다.

 

그럼 아래에 중부승모근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중부승모근 간단 설명

중부승모근은 아래 설명드린 곳에서 기시해서 그 밑에 설명드리려고 하는 정지점에 붙어있고 아래와 같은 기능을 합니다.

 

 

  • 기시점 (이는 곳, Origin) :

1번 흉추 ~ 제5흉추까지의 극돌기(T1 ~ T7 spinous processes)

  • 정지점 (닿는 곳, Insertion) :

견갑극, 견봉의 내측 부분 (Middle spine of scapula)

  • 작용(기능, Action) : 

견갑골 내전, 상방회전


중부 승모근은 위와 같이 붙어있고 그 모양에 의해 이러한 기능을 합니다. 그래서 중부승모근의 형태에 따라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중부승모근 (Middle Trapezius)의 특징


  • 상지의 가동성과 안정성에 필수적인 근육이다.

중부승모근은 표층근육으로 움직임에 대해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안정성에도 필수적인 근육입니다. 중부승모근이 제대로 사용되지 않는다면 실제로 안정성에 주로 기여하는 능형근 같은 근육들의 과활성화가 일어나면서 자세 변형이나 어깨의 통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다른 근육과의 협응하며 움직인다.

중부승모근은 견갑골을 중앙으로 모아주는 필수적인 근육이지만 이 근육은 다른 근육과 함께 협동하여 사용합니다. 전거근, 능형근등이 그러한 근육이지만 중부승모근은 견갑골의 상방회전과 견갑골의 내전의 주요한 동작을 만들어내는 근육입니다. 그래서 동작을 할 때 이상하다면 다른 근육도 함께 봐주어야 하는 근육입니다.

  • 견갑골 중심화에 필수적이다.

중부승모근은 견갑골을 척추 방향으로 견인하고 앞으로 과하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견갑대 전체의 중심을 잡아주는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치며


중부승모근은 제가 20대에 처음 웨이트 트레이닝을 시작할 때 즈음 몸을 넓게 하는 근육인 광배근과는 다르게 몸을 두텁게 만드는 근육이라고 배웠습니다. 그만큼 외형적으로도 굉장히 중요한 근육인 동시에 제대로 사용하지 못한다면 어깨 통증을 일으키고 몸의 수행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요소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굉장히 중요한 근육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실제로 회원님들도 중부 승모근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면서 등운동 움직임의 질이 굉장히 떨어지는 광경을 맞이하곤 합니다. 그래서 움직임의 품질을 높이려면 중부승모근을 필수적으로 잘 사용하여야 할 것입니다.

 

그럼 오늘도 똑똑한 운동하세요 회원님!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5.04.09 - [해부학 이야기/체간] - 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등 운동]

 

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등 운동]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안녕하세요 회원님들! 4월도 1/3 정도가 흘러가는 시점입니다. 벚꽃이 슬슬 만

body-making.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