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회원님들!
4월도 1/3이 지나가는 시점입니다. 오늘은 날씨가 굉장히 더웠는데 내일 비 소식이 있다고 합니다. 글을 쓰는 시점으로 벚꽃이 만개했었는데 주말이 지나고 나면 벚꽃이 다 질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 뭔가 아쉬운 느낌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승모근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할 텐데 오늘은 그중에서도 하부승모근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하부 승모근 해부학 목차
하부승모근은 어떻게 생겼어요?
승모근이라는 단어는 옛날 스님들의 모자와 비슷하다고 하여 그 이름이 기원합니다. 승모근은 등에 위치한 큰 부위로 등에 위치한 세모 모양을 띄고 있습니다. 그래서 승모근의 한글이름으로는 등세모근입니다. 그리고 승모근의 영어표기는 승모근이 양쪽으로 합쳐진 모습을 보면 사다리꼴과 비슷하다고 하여 사다리꼴의 영어인 trapezoid에서 기원해 trapezius라고 불립니다. 그중 하부승모근은 승모근의 세 부위 중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래의 사진을 보시면 근섬유의 방향은 흉추에서 견갑골의 내측으로 향하는 모습을 향하고 있으며 그에 맞춰 근육이 수축합니다.
하부승모근의 형태
어플의 특성상 하부승모근만을 남겨둘 수 없어 승모근 전체의 모습을 보여드리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하부승모근은 흉추에서 견갑골로 향하는데 그래서 근섬유가 향하고 있는 방향으로 그에 맞춰 수축합니다. 그래서 하부승모근이 수축하면 견갑골을 아래로 내리고 견갑골 안쪽에서 수축이 되기 때문에 견갑골은 바깥쪽으로 돌아 견갑골이 상방회전이 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럼 하부승모근에 대해서는 아래의 간단 설명으로 명료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하부승모근 간단 설명
하부승모근은 아래 설명드린 곳에서 기시해서 그 밑에 설명드리려고 하는 정지점에 붙어있고 아래와 같은 기능을 합니다.
- 기시점 (이는 곳, Origin) :
제 6 흉추부터 제 12 흉추까지의 극돌기(T6 - T12 spinous processes)
- 정지점 (닿는 곳, Insertion) :
견갑극근 (root of spine of scapula)
- 작용(기능, Action) :
견갑골 하강, 상방회전
하부승모근은 위와 같이 붙어있고 그 모양에 의해 이러한 기능을 합니다. 그래서 하부승모근의 근육 형태에 따라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하부승모근의 특징
- 견갑골 하강과 견갑골 안정화의 핵심근육이다.
하부승모근의 가장 뚜렷한 기능은 견갑골을 아래로 내리고 안정화시키는 것입니다. 그래서 하부승모근을 제대로 쓰지 못하는 분들의 움직임을 보면 굉장히 불안하고 어깨를 움직일 때 통증을 느낀다는 분도 많이 계십니다. 그래서 전거근과 함께 어깨의 안정화를 제대로 일으켜주어야 안정적인 어깨의 움직임을 만들 수 있습니다.
- 견관절 굴곡/외전 동작에서 짝힘을 발휘하는 근육이다.
우리가 팔을 들어 올릴 때 삼각근만 작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견관절의 움직임에서는 견갑골의 움직임도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인데 견갑골의 상방회전이 자연스럽게 일어나야 합니다. 전거근이나 상부승모근 등의 근육과 함께 견갑골의 상방회전이 잘 일어나야 어깨 충돌(Shoulder impingement )이 적어지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만들 수 있습니다.
- 하부승모근은 자세 유지근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승모근 자체가 움직임과 안정성을 같이 부여하는 굉장히 중요한 근육인데 하부승모근은 특히 견갑골이 평소에 전인 / 거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데에 필수적인 근육입니다. 만약 하부승모근이 평소에 제대로 수축하지 않는다면 어깨가 앞으로 나가며 목도 앞으로 나가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서 목에 지속적인 힘이 실리면서 목의 통증도 증가할 것입니다.
마치며
이 포스팅으로 상부, 중부, 하부승모근에 대해서 모두 포스팅했는데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함께 읽으면 좋은 글]을 읽어주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하부승모근을 잘 사용하지 못하시는 분들이 보통 상방회전을 잘 사용하지 못하는데 견갑골의 상방회전을 잘 쓰지 못하시는 분들이 보통 능형근과 같은 근육만 사용하면서 어깨 움직임의 품질이 굉장히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셨습니다. 그리고 승모근은 가끔 솟아 오른 근육이라며 보기에 나쁜 근육이라고 오해받는 경우가 많은데 오히려 승모근을 잘 써주셔야 솟아오른 것처럼 보이는 근육이 더욱 내려앉는 모습을 보여주어서 외관상으로도 훨씬 좋아지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승모근은 오히려 잘 사용해주어야 하는 근육입니다.
그럼 오늘도 똑똑한 운동하세요 회원님!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5.04.09 - [해부학 이야기/체간] - 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등 운동]
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등 운동]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안녕하세요 회원님들! 4월도 1/3 정도가 흘러가는 시점입니다. 벚꽃이 슬슬 만
body-making.tistory.com
2025.04.10 - [해부학 이야기/체간] - 중부승모근 (Middle Trapezi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등 운동]
중부승모근 (Middle Trapezi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등 운동]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안녕하세요 회원님들! 요즘은 날씨가 참 제멋대로인가 싶은 느낌이 듭니다.
body-making.tistory.com
2025.02.27 - [해부학 이야기/상지] - 삼각근 (Deltoid)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어깨 운동]
삼각근 (Deltoid)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어깨 운동]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회원님들! 2월 말이 되면서 날씨가 급작스레 따뜻해지는 것이
body-making.tistory.com
'해부학 이야기 > 체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부승모근 (Middle Trapezi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등 운동] (2) | 2025.04.10 |
---|---|
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등 운동] (2)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