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근육운동가이드]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회원님들! 오랜만에 돌아왔습니다!
몇 년 전에 포스팅을 했던 해부학 시리즈만 진행하다보니 흥미도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새롭고 가볍게 접근할 수 있는 포스팅을 해보려고 해요!
그래서 해부학 개념과 근육 운동을 한꺼번에 알려드릴 수 있도록 준비했어요! 대학교를 졸업하고 해부학을 다시 공부할 때 "아 이래서 이런 동작을 했기 때문에 이런 근육이 좋아졌구나!"라는걸 창피하게도 트레이너를 시작하면서 깨닫게 되는 저였습니다...(허허...)
새롭게 공부하면서 느꼈던 감정은 [이래서 공부를 해야 나에게든 회원님에게든 더욱 똑똑한 트레이닝을 제공할 수 있겠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면서 당연하게도 공부를 놓치 않고 계속 공부를 하게 된 계기가 되었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배운 내용들을 회원님들이 최대한 편하게 배우실 수 있도록 포스팅을 준비했어요! 물론 이제는 아는 것만 알려드린다기보다는 제가 배우고 공부한 내용들을 참고한 서적과 함께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그럼 오늘의 운동! 이두 운동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상완이두근 해부학 목차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
상완이두근은 어떤 근육일까요? 소위 우리가 많이 이야기하는 [알통]이라고 하는데 요즘에도 그런말을 사용하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어렸을 때부터 어른들이 '알통이 커진다!'라고 하셨는데 그때는 항상 알통이라는 단어만 머릿 속에 박혀있어서 대학교를 가기 전까지도 항상 알통이라고만 알고 있었어요! 하지만 이 근육의 이름은 상완이두근이라고 하는 이름이 따로 있었답니다!
다음에 또 설명을 드리겠지만 뼈는 우리 몸의 기둥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하지만 근육은 그 기둥을 움직여주는 도르래나 모터라고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근육이라는 것은 없다고 한다면 상상도 할 수가 없어요! 왜냐하면 근육이 없다면 우리는 앉고, 서고, 걷고, 말하고, 물건을 잡을 수도 없고 방금 말씀드린 뼈의 이동을 제외하고도 심장박동을 일으킬 수도, 호흡을 할 수도, 음식물이 소화관을 따라 이동시킬 수도 없어요!
왜냐하면 이런 것들이 모두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오늘은 상완이두근이라고 하는 근육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할게요!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은 말 그대로 상완(위팔뼈)에 있는 두 갈래로 뻗어지는 근육이에요! 그래서 장두(긴갈래근)와 단두(짧은갈래)로 나뉘어지며 두 갈래는 둘 다 어깨뼈(견갑골)과 노뼈(요골)에 부착하는 근육입니다! 그렇다면 상완이두근에 대한 설명을 간단하게 드리겠습니다.
상완이두근 간단설명
- 기시점 (이는곳) :
장두 - 오훼돌기(부리돌기)
단두 - 오목위결절(접시위결절)
- 정지점 (닿는곳) :
요골조면(노뼈거친면)
- 작용(기능) :
주관절 굴곡(팔꿉관절 굽힘), 회외(뒤침)
마치며
상완이두근은 말 그대로 상완에서 머리가 두갈래로 뻗어지는 근육이에요!
근데 저는 처음에 이 근육의 이름을 들었을 때 설명해주신 교수님은 당시에 팔이 정말 크셨는데 진짜로 양 팔이 머리만하게 커서 장난으로 이두근은 머리가 두개인 것이라고 말씀하신줄 알았답니다... (허허...)
저희는 해부학도 중요하지만 운동을 어떻게 하는지가 궁금하시기 때문에 빠르게 알려드릴게요! [상완이두근을 운동하기 위해서는 팔꿈치를 굽혀 손바닥으로 어깨를 찍는다는 느낌의 움직임]이 상완이두근의 움직임이라고 생각해주시면 편하지 않을까 싶어요!
해부학적자세(Anatomical position)로 봤을 때 손바닥이 앞을 본 상태에서 팔꿈치를 굽힌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팔 운동을 할 때 덤벨이나 바벨 등을 들고 팔꿈치를 굽혀서 위로 올리는 동작을 하는거에요! 그렇기 때문에 상완 이두근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팔꿈치를 굽혀 팔을 올리는 행위를 하는 것이에요! 그래서 상완 이두근에 스트레스를 주는 행위를 해서 상완이두근이 커질 수 있도록 운동은 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상완이두근에 대한 해부학에 대해서 설명드렸어요! 다음 포스팅에는 상완이두근 운동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 다시 한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밀린 만큼 다시 열심히 해보도록 할테니 자주 와서 소통해주시면 더욱 알찬 내용으로 보답드릴게요!
오늘도 똑똑한 운동하시길 바랄게요!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5.01.23 - [트레이닝 이야기/근력] - 상완이두근 운동편 :: [헬린이를 위한 팔 운동 시리즈 _ 1]
상완이두근 운동편 :: [헬린이를 위한 팔 운동 시리즈 _ 1]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근육운동가이드]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회원님들! 지난번 시간에는 상완이두근의 해부학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글
body-making.tistory.com
이두근 1분 요약! (출처- https://youtube.com/shorts/PO1CGEQ62-M)
'해부학 이야기 > 상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흉근 (Pectoralis major)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가슴 운동] (2) | 2025.03.11 |
---|---|
삼각근 (Deltoid)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어깨 운동] (2) | 2025.02.27 |
상완근(Brachiali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팔 운동 시리즈 _ 4] (0) | 2025.02.17 |
상완요골근(Brachioradialis)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팔 운동 시리즈 _ 3] (0) | 2025.02.03 |
상완삼두근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팔 운동 시리즈 _ 2]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