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이야기/상지

상완삼두근 해부학 :: [헬린이를 위한 팔 운동 시리즈 _ 2]

by 우리동네트레이너 2025. 1. 24.
728x90
반응형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해부학]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회원님들! 우리 팔은 지난번 상완이두근 편에서 말씀드렸듯이 많은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그래서 보기 좋은 몸을 유지하기 위해선 한쪽의 근육만 강화시키는 것이 아닌 우리 몸의 다양한 부분을 강화시켜 주어야 우리가 상상하는 모습의 근육의 모양과 기능을 만들어 낼 수 있어요! 한 근육만 강화시킨다고 그 근육만 발달되는 게 아닌 두루두루 잘 강화되어야 우리 몸은 더욱 잘 받쳐줄 수 있고 근육끼리도 서로서로 잘 도와줄 수 있답니다!

 

지난번 상완이두근에 대한 것이 기억이 나지 않으신다면 아래의 링크로 상완이두근에 대한 해부학을 보세요. 상완삼두근은 상완이두근과 반대되는 성질을 가지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오늘의 글을 읽으시면서 더욱 도움이 되실거에요!

https://body-making.tistory.com/15

 

헬린이를 위한 팔 운동 시리즈 _ 1 [상완이두근 해부학편]

이 포스팅은 책 [스포츠전공자를 위한 인체해부학]과 [근육운동가이드]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회원님들! 오랜만에 돌아왔습니다! 몇 년 전에 포스팅을 했던 해부학 시리즈

body-making.tistory.com

 

그래서 오늘은 지난번 상완이두근에 대한 포스팅에 이어서 상완삼두근이라는 근육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요!

 

상완삼두근은 보통 "팔에 있는 말발굽"이라고 말하는 곳을 생각하시면 좋으실 텐데 팔꿈치를 쭉 폈을 때 팔 바깥쪽에서 수축되는 근육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상완삼두근 목차

     


    상완삼두근은 어떻게 생겼어요?


    상완삼두근은 우리가 팔꿈치를 펼 때 많이 튀어나오는 해부학적 자세 기준 팔 뒤쪽에서 보이는 근육입니다. 그래서 상완삼두근은 지난번 설명드린 상완이두근과 반대로 붙어있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상완삼두근은 한글로 표현하면 위팔세갈래근이라고 말하며 한자인 상완삼두근은 [상완에 있는 머리가 세 갈래인 근육]을 표현해요!


    상완삼두근의 형태

     

    상완삼두근 ( 출처 : Human anatomy atlas)

    상완삼두근은 총 세 갈래로 뻗어진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래서 단관절 근육내측두(그림의 1번)외측두(그림의 3번) 다관절 근육장두(그림의 2번)로 이루어져 있고 그에 따라서 기능도 달라집니다.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드리겠지만 상완삼두근 세 갈래의 공통적인 기능은 팔꿉관절 신전(주관절 신전)입니다! 그래서 팔꿈치를 펴는 행위를 할 때에는 상완삼두근의 역할이 엄청나게 중요하답니다! 상완삼두근의 장두는 상완이두근의 장두와 비교했을 때 붙는 곳과 기능을 생각하면 뭔가 비슷하지만 다른 두 가지 정도의 다른 점이 있어요!

     


    [상완 삼두근 장두]와 [상완 이두근 장두]의 차이

     

    • 상완삼두근(위팔세갈래근, Triceps brachii) 장두

    - 기시점 (이는 곳)

    관절하결절(오목아래결절, infragrenoid tubercle)

     

    - 기능(작용)

    주관절 신전(팔꿉관절 폄), 견관절 신전, 내전(어깨관절 폄, 모음)

    •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 Biceps brachii) 장두

    - 기시점 (이는 곳)

    관절상결절(오목위결절, Supragrenoid tubercle)

     

    - 기능(작용)

    주관절 굴곡(팔꿉관절 굽힘), 견관절 굴곡, 외전(어깨관절 굽힘, 벌림)


     

    상완삼두근의 장두와 상완이두근의 장두의 차이는 서로 비슷하지만 다른 곳에 붙어있고 기능은 반대로 한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이렇기 때문에 항상 우리는 반대되는 근육은 잘 알아두어야 합니다!



    상완삼두근 간단 설명


    상완 삼두근에 대한 기능을 간단하게 설명드렸는데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위에서 어느 정도 설명드리긴 했으나 상완삼두근만 다시 한번 간단하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설명드릴게요!

     


    상완삼두근

     

    • 기시점 (이는 곳) :

    외측두 - 상완골 후면의 나선구 상부(위팔뼈의 위, 가쪽모서리)

    장두 - 견갑골의 관절하결절(어깨뼈의 접시아래결절)

    내측두 - 상완골 후면의 나선구 하부(위팔뼈의 뒷면, 노신경고랑의 아래)

     

    • 정지점 (닿는 곳) :

    척골 주두돌기(자뼈 팔꿈치돌기)

     

    • 작용(기능) : 

    주관절 신전(팔꿉관절 폄)

    장두 - 주관절 신전(팔꿉관절 폄), 견관절 신전, 견관절 내전(어깨관절 폄, 모음)


    상완삼두근은 상완에서 머리가 세 갈래로 뻗는 근육입니다. 그래서 상완삼두근은 다이어트가 잘 된다면 세 가지의 근육이 선명하게 잘 보이는 근육이랍니다!

     

    [상완삼두근은 팔꿈치를 펴서 엉덩이에 손을 댄다는 느낌]으로 이해해 주신다면 가장 강하게 수축이 되는 모습의 근육이에요!

     

    해부학적인 자세에서 봤을 때에서는 움직일 필요는 없는 모습이라고 생각해 주시면 됩니다. 그래서 팔꿈치가 굽혀있다면 그것을 펴는 행위를 함으로써 상완삼두근은 계속해서 사용하고 부하가 생기며 그 부하를 이기기 위해서 기능이 좋아지고 크기가 커질 겁니다.


    오늘은 상완삼두근 근육에 대해서 알려드렸어요! 다음 포스팅은 오늘 배운 해부학을 중심으로 어떤 운동을 하면 상완삼두근을 잘 사용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